Trouble Shootings(24)
-
[SpringBoot] @RestControllerAdvice와 Swagger 충돌
❌사건의 발단⚙️환경- SpringBoot 4.3.2- Swagger: org.springdoc:springdoc-openapi-starter-webmvc-ui:2.0.2 개발을 하다가 API마다 예외 처리 코드를 작성하는 게 너무 귀찮고 시간이 많이 들기도 해서 어떻게 방법이 없나 고민하던 찰나에, `@RestControllerAdvice` 어노테이션을 스프링부트에서 제공한단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예외처리 핸들러 클래스를 지정하여 해당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지정한 패키지 경로에 있는 클래스들에서 던진 예외를 받아서 처리할 수 있더라구요. 이렇게 전역적인 핸들러 클래스를 지정하니, `Controller`에서 `try-catch`를 쓸 필요가 없었습니다. 😊 근데 문제는 `@RestController..
2025.02.10 -
[MySQL] Error: Data too long for column "컬럼명"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컬럼에 걸어놓은 데이터 타입에 비해, 입력 데이터가 더 많은 저장 공간을 차지해 잘리는 현상입니다.### SQL: INSERT INTO users (code_id, name, nickname, email) VALUES (?, ?, ?, ?)### Cause: com.mysql.cj.jdbc.exceptions.MysqlDataTruncation: Data truncation: Data too long for column 'nickname' at row 1;Data truncation: Data too long for column 'nickname' at row 1] with root cause 닉네임을 받기 위해 `varchar(13)` 정도로 데이터 타입 및 크기를 명시해놨는데, 한..
2025.02.08 -
[MyBatis] parameterType에 중첩 클래스 타입을 넣을 경우
Mapper XML에서 Insert SQL 구문을 작성했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가 SpringBoot 로그에서 떴습니다.Caused by: org.apache.ibatis.builder.BuilderException: Error resolving class. Cause: org.apache.ibatis.type.TypeException: Could not resolve type alias 'domain.controller.auth.AuthRequest.RegistrationUserData'. Cause: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Cannot find class: domain.controller.auth.AuthRequest.RegistrationUserData 이..
2025.02.08 -
[Visual Studio Code] "unable to start debugging. unable to establish a connection to gdb. debug output may contain more information." 오류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Visual Studio Code에서 따로 설정을 하여 해결한 것은 아닙니다. 단순히, 저의 어리석은 실수로 인해 발생했던 문제였어요... 이걸 겪으면서 C++ 언어의 무서움이 다시 한 번 느껴집니다. 오류를 안 뱉어요... ☢️ 문제가 발생한 상황 🔗단지번호붙이기라는 백준 사이트 문제를 푸는 중이었고, 작성한 코드가 제대로 돌아가는지 Visual Studio Code 상에서 실행을 해봤습니다. 그런데, 입력값을 주고 실행을 시켜도 아무런 응답이 없었습니다. 무슨 일인가 싶어 중단점을 찍고 다시 입력값을 준 후, 한 줄을 실행했는데 이번에는 디버거가 꺼져버렸습니다. 이게 무슨 일인가요?... 그러다가 Visual Studio Code에서 에러 메세지를 하나 내보내 줍니다. unable..
2023.11.28 -
[UE5] 라이브 코딩은 디스크에 영구 저장되지 않는다.
C++ 클래스에서 소스 코드를 변경한 후, 라이브 코딩을 적용하면 언리얼 엔진 에디터에 해당 변경 사항이 반영됩니다. 하지만, 언리얼 엔진 에디터를 닫았다가 다시 열면 변경했던 소스 코드 사항들이 반영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 이유는 라이브 코딩은 변경점에 대해서 에디터에 적용은 하지만, 디스크에 저장하지는 않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디스크에 영구 저장을 하려면 언리얼 엔진 에디터를 닫고, 사용하는 IDE(Visual Studio, Visual Studio Code 등등)에 가서 빌드(Ctrl + Shift + B)를 해줘야 합니다.
2023.08.03 -
[UE5] Visual Studio : 디버깅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프로젝트 속성을 열고 '구성 속성 --> 디버깅'으로 이동하여 디버거 설정을 확인하십시오.
언리얼 엔진은 디버깅도 힘들구나... C++ 클래스를 생성하여 간단한 예제를 따라해보다가, 디버깅이 필요한 경우가 생겨 F5를 눌러 디버그 모드로 실행했더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떴습니다. Development Editor나, DebugGame Editor로 해봐도 안 되고, Win64인 것도 확인을 했지만 계속 위와 같은 오류가 떴습니다. 오늘은 하루종일 오류만 맞이하는 날인가 보네요. 디버그 속성값들은 제가 건드린 적이 없으니, 오류 다이얼로그가 말해주는대로 들어가봐도 해결될 리가 없었습니다. 열심히 구글링을 하던 중, 드디어 해결책을 찾았는데 정말 간단해서 허탈하더군요... Visual Studio에서 현재 프로젝트를 시작 프로젝트로 설정해주기만 하면 되었습니다... 위와 같이 설정해주니, 정상적으로..
2023.02.09